1. 5 Forces 분석이란?
5 Forces 분석(산업 구조 분석)은 기업이 경쟁 환경을 분석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한 프레임워크입니다. 이 모델은 마이클 포터(Michael Porter) 가 개발했으며, 특정 산업에서 수익성을 결정짓는 다섯 가지 힘을 분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이 분석을 통해 기업은 경쟁의 본질을 이해하고, 경쟁 우위를 확보할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. 특히 웹 및 앱 기반의 비즈니스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분석 도구입니다.
2. 5 Forces 분석의 5가지 요소
1) 신규 진입자의 위협 (Threat of New Entrants)
- 신규 기업이 시장에 쉽게 진입할 수 있는가?
만약 진입 장벽이 낮다면 새로운 기업이 쉽게 들어와 기존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을 빼앗을 수 있습니다. 반대로, 진입 장벽이 높다면 기존 기업들이 시장을 장악하기 유리합니다.
✔ 웹/앱 서비스에서의 예시
- 앱 개발이 쉬워지고, 노코드 및 로우코드 툴이 발전하면서 누구나 쉽게 웹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 → 경쟁이 심화됨
- 하지만 브랜드 인지도, 사용자 데이터, 네트워크 효과 등은 높은 진입 장벽이 될 수 있음
- 예) 배달 앱 시장에서는 쿠팡이츠, 땡겨요 같은 신규 서비스가 등장했지만, 배달의민족, 요기요 등 기존 업체들이 브랜드 파워와 충성 고객을 통해 시장을 유지함
✔ 진입 장벽을 높이는 전략
- 강력한 브랜드 구축 (예: 네이버, 카카오 같은 플랫폼)
- 충성 고객 확보 (예: 구독 서비스 도입)
- 기술적 차별화 (예: AI 추천, UX/UI 개선)
- 네트워크 효과 활용 (예: 사용자 리뷰, 커뮤니티 활성화)
2) 기존 기업 간의 경쟁 (Industry Rivalry)
- 현재 시장에서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가?
경쟁이 심한 시장에서는 가격 경쟁, 마케팅 비용 증가 등이 발생해 기업의 수익성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. 반대로 독점적이거나 과점적인 시장에서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✔ 웹/앱 서비스에서의 예시
- 스트리밍 시장(넷플릭스 vs 디즈니+, 왓챠 등)
- 전자상거래(쿠팡 vs 네이버 쇼핑 vs 11번가 등)
- SNS(인스타그램 vs 틱톡 vs 스레드 등)
✔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전략
- 차별화된 UX/UI 제공
- 독점적인 콘텐츠 확보 (예: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)
- 맞춤형 서비스 제공 (예: AI 기반 추천 시스템)
- 충성도 높은 고객 확보 (예: 멤버십 프로그램)
3) 구매자의 교섭력 (Bargaining Power of Buyers)
- 고객이 가격을 깎거나 더 나은 서비스를 요구할 힘이 있는가?
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많으면 교섭력이 높아지고, 기업의 수익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큽니다. 반면, 고객이 특정 제품을 계속 사용할 수밖에 없다면 기업이 유리한 위치를 차지합니다.
✔ 웹/앱 서비스에서의 예시
- OTT(넷플릭스, 디즈니+, 웨이브) → 구독 취소가 쉬운 시장, 가격 경쟁이 치열함
- 배달앱(배달의민족, 쿠팡이츠) → 프로모션을 활용해 고객을 유치하려는 경쟁이 있음
- SaaS(클라우드 서비스, 생산성 툴) → 기업 고객이 쉽게 플랫폼을 변경하기 어려움
✔ 구매자의 교섭력을 낮추는 전략
- 독점적인 기능 제공 (예: 애플의 iOS 생태계)
- 락인 효과 강화 (예: 구독 모델, 장기 계약, 데이터 연동)
- 강력한 브랜드 신뢰 구축 (예: 고객 서비스 개선)
4) 공급자의 교섭력 (Bargaining Power of Suppliers)
-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자원을 공급하는 업체가 시장에서 얼마나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가?
공급자가 독점적이거나 대체 공급원이 부족하면 기업은 높은 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.
✔ 웹/앱 서비스에서의 예시
- 앱 마켓(애플 앱스토어, 구글 플레이스토어) → 앱 개발사는 앱 마켓 수수료(30%)를 지불해야 함
- 클라우드 서비스(AWS, Azure, GCP) → 서버 비용이 계속 증가할 수 있음
- 콘텐츠 라이선스(음악, 영상, 게임) → 저작권 문제가 중요함
✔ 공급자의 교섭력을 낮추는 전략
- 대체 공급업체 확보 (예: 멀티 클라우드 활용)
- 자체 기술 개발 (예: 오픈소스 도입, 내부 인프라 구축)
- 협상력 강화 (예: 장기 계약, 공동 투자)
5) 대체재의 위협 (Threat of Substitutes)
- 고객이 우리 서비스 대신 다른 방법으로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?
대체재가 많으면 기업의 수익성이 낮아지고, 차별화 전략이 필요합니다.
✔ 웹/앱 서비스에서의 예시
- 유튜브 vs 넷플릭스(유튜브의 무료 콘텐츠가 넷플릭스의 대체재가 될 수 있음)
- 웹툰 vs 종이 만화(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종이 만화의 수요가 감소)
- 스마트폰 앱 vs 웹사이트(앱을 설치하지 않고도 웹에서 대체 가능한 경우)
✔ 대체재의 위협을 줄이는 전략
-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(예: AI 기반 콘텐츠 추천)
- 가격 경쟁력을 높이거나 무료 서비스 제공 (예: 광고 기반 무료 모델)
- 플랫폼 독점 전략 (예: 오리지널 콘텐츠 제공)
3. 웹/앱 비즈니스에서 5 Forces 분석 활용 방법
- 시장 진입 전략 수립 → 신규 진입자가 쉽게 들어올 수 있는 시장인지 파악
- 경쟁사 분석 → 어떤 기업이 주요 경쟁자인지,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지 결정
- 가격 전략 → 소비자와 공급자의 교섭력을 고려하여 적정 가격 설정
- 기술 및 인프라 전략 → 클라우드, 데이터, 콘텐츠 등의 공급자 의존도 평가
- 수익 모델 개선 → 광고, 구독, 데이터 기반 서비스 등 최적의 수익 모델 개발
결론
5 Forces 분석은 단순히 전통적인 산업 분석뿐만 아니라, 웹/앱 서비스에서도 매우 효과적인 전략 도구입니다.
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는 새로운 경쟁자, 대체재의 등장, 고객과 공급자의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여러분의 웹/앱 서비스는 어떤 5 Forces 요소에 영향을 받고 있나요?
✅ 어떤 전략을 통해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까요?
여러분의 비즈니스에 맞춰 5 Forces 분석을 적용해보세요! 🚀
'알아두면 좋은 것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금계좌 해외 ETF, 이중과세라니… 정책 제대로 알고 만든 건가요? (0) | 2025.02.06 |
---|---|
이문아이파크자이 무순위 줍줍 완판! 무시무시한 최대 경쟁률 (1) | 2023.12.16 |
이문아이파크자이 무순위 줍줍 152세대 (강북 최대 단지) (0) | 2023.12.14 |
[동탄줍줍] A85블록 동탄호수하우스디 경쟁률 (0) | 2023.06.09 |
[무순위 줍줍] 동탄 무순위 줍줍_LH동탄호수하우스디 (임장 사진) (0) | 2023.06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