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프로덕트오너 2

PO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SQL 실무 지식|비개발자도 쿼리로 일하는 시대

요즘은 기획자도 SQL은 알아야 먹고삽니다 😅PM이든 PO든, 개발자가 아니더라도 데이터를 직접 보고 판단할 줄 알아야 진짜 ‘일 잘하는 사람’ 소리 듣죠.그 시작이 바로 SQL입니다.요즘 실무에서 가장 빛을 발하는 PO는'기획'만 하는 사람이 아니라,데이터를 직접 조회하고, 검증하고, 인사이트를 뽑아내는 사람이에요. [왜 PO에게 SQL이 필요할까?]기획 → 검증의 흐름 단축 기능이 출시됐을 때 KPI 달성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. GA, Amplitude만으로 부족할 때도 많습니다. 로그성 데이터, 운영 DB를 직접 조회하면 의사결정 속도가 훨씬 빨라지죠. 데이터 팀과의 소통 능력 향상 SQL을 아는 PO는 “데이터 좀 뽑아주세요” 대신 “최근 30일간 이벤트 클릭 후 구매율 추이 알..

PO(프로덕트 오너) K-애자일, K-PO에 대한 단상

회사에서 앱을 만들거나 IT 조직이 있다고 하는 대부분의 회사는 요즘 거의 애자일이라는 방법론을 도입하여 운영 중에 있다. 본 글에서는 IT기업과 비 IT기업에 재직하며 막 애자일이 도입되던 과도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, 내 직무를 지칭하는 다양한 포지션에 몸담으며 느꼈던 점을 작성하였으며, 애자일이나 PO에 대한 이론이나 멋들어진 정의들은 다른 포스트에도 많으니 별도로 언급하진 않겠다. K-POP, K-뷰티, K-방역 요즘 들어 어떤 카테고리, 어떤 프로세스 건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특성과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결과물이 만들어졌을 때 곧잘 K를 붙이곤 한다.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애자일이란 방법론이 각광받으며 한국에만 존재한다는 웹 기획, 서비스 기획자가 마침내 프로덕트의 생애에 있어 PO, PM이..

1
LIST